카테고리 없음

이것 역시 곧 지나가리라

gracegracr 2008. 4. 11. 07:34
이것 역시 곧 지나가리라

유대인들의 미드라시(midrash)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습니다.

어느 날 성군이라 불리는 다윗 왕이 궁중의 우두머리 보석 세공인을 불러 명령을 내렸습니
다. "나를 위하여 반지를 만들고 그 반지에 글귀를 새겨 넣어라. 그 글귀는 내가 전쟁에서 승리
하거나 위대한 일을 성취했을 때 그 글귀를 보고 우쭐해하지 않고 더욱 겸손할 수 있도록 각성
이 되는 글귀이어야 하며, 반대로 인간으로서 견디기 힘든 슬픔이나 고통이 찾아올 때, 그 글귀
를 보고 용기를 얻을 수 있는 위안을 주는 말이어야 한다."

명을 받은 보석 세공인은 평소의 세공솜씨로 정교한 반지를 아름답게 만들었습니다. 그러나 어
떤 글귀를 새겨 넣어야 다윗 왕의 마음들 것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. 며칠을 생각했
어나 글귀를 지을 수가 없었습니다.

보석세공인은 며칠을 고민을 하다가 솔로몬 왕자를 찾아가 그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.
"다윗 왕의 황홀한 기쁨을 절제해 주고 동시에 다윗 왕이 낙담할 때 용기를 북돋워 드릴 수 있
는 글귀를 가르쳐 주십시오"

솔로몬 왕자는 잠시 생각한 후 이렇게 대답했습니다. "이런 글귀를 써 넣으시요!
<이것 역시 곧 지나가리라!(It will too pass away, as soon)>"
그러면서 설명했습니다.
"왕이 승리의 순간에 이것을 보면 곧 자만심이 가라앉게 될 것이고, 그가 낙심 중에 있다면 그
글귀를 보고 이내 표정이 밝아질 것이다."

솔로몬은 과연 지혜의 왕답게 적절한 글귀를 가르쳐 준 것입니다. 이 글귀를 우리의 삶에도 적
용한다면 우리 또한 절제하지 못할 만큼 기뻐 교만하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절망에서도 일어설
수 있는 힘을 얻을 것이라 생각됩니다.

진실로 천한 자도 헛되고 높은 자도 거짓되니 저울에 달면 들려 입김보다 경하리로다 [전 62:9]